국민의 경제활동(취업, 실업, 노동력 등)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거시경제 분석과 인력자원의 개발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양식
A data frame with 7 variables:
- 연령계층별
해당 시점의 경제활동인구 조사 연령계층 : 15-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 시점
경제활동인구를 실시한 시점
- 인구 (천명)
해당 연령계층의 총 인구
- 경제활동인구 (천명)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말한다
- 취업자 (천명)
①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② 자기에게 직접적으로는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자기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이상 일한 자(무급가족종사자), ③ 직장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 실업자 (천명)
조사대상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으로서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
- 비경제활동인구 (천명)
조사대상 주간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만 15세 이상인 자, 즉 집안에서 가사와 육아를 전담하는 가정주부, 학교에 다니는 학생, 일을 할 수 없는 연로자와 심신장애자, 자발적으로 자선사업이나 종교단체에 관여하는 자 등을 말한다
예시 코드
library(dplyr)
library(ggplot2)
library(gganimate)
ani_economyPeople <- economyPeople %>%
mutate(
`경제활동인구비율` = `경제활동인구 (천명)` / `인구 (천명)` * 100
) %>%
ungroup() %>%
arrange(시점, 연령계층별) %>%
ungroup()
plot_ecoPeople <- ggplot(
ani_economyPeople,
aes(x = `연령계층별`, y = `경제활동인구비율`, fill = `연령계층별`)) +
theme_minimal(base_family = "AppleSDGothicNeo-SemiBold") +
geom_bar(stat='identity') +
theme(
axis.text.x = element_text(size = 15, color = "grey3", face = "bold"),
axis.title = element_text(size = 17, color = "grey21", face = "bold"),
legend.position = "none",
plot.title = element_text(hjust = 0.5, size = 22, color = "royalblue4", face = "bold"),
axis.line = element_blank(),
panel.grid.major = element_blank(),
panel.grid.minor = element_blank(),
panel.grid.major.x = element_line(size = 0.1, color = "grey"),
plot.background = element_blank()
) +
labs(
title = "{closest_state} 연령별 경제활동인구비율",
subtitle = "1999-2023년",
caption = "KOSTAT;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
x = "",
y = "경제활동인구비율"
) +
transition_states(
시점
)
#> Warning: The `size` argument of `element_line()` is deprecated as of ggplot2 3.4.0.
#> ℹ Please use the `linewidth` argument instead.
ani <- animate(plot_ecoPeople, duration = 30)
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