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2023년 정부 연도별 세출/지출 예산편성 현황(총액), 기금운용계획안. 이용허락범위 제한 없음.

사용법

budget2023

양식

A data frame with 13 variables.

회계연도

회계상의 정리기술면에서 편의에 따라 일정한 기간을 정하고 그 수지상황을 명확히 하는 예산의 기간적 단위. 우리나라의 경우에 현행 국가재정법법 제2조에 따라 매년 1월1일에 시작하여 12월 31일에 종료.

소관명

국가의 업무 담당하여 관리하는 부, 처, 청, 위원회 등 정부조직법상 중앙행정기관과 헌법기관의 이름

회계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또는 체계. 일반회계는 조세수입 등을 주요 세입으로 하여 국가의 일반적인 세출에 충당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특별회계는 국가에서 특정한 사업을 운영하고자 할 때, 특정한 자금을 보유하여 운용하고자 할 때, 특정한 세입으로 특정한 세출에 충당함으로써 일반회계와 구분하여 회계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 법률로써 설치

계정명

회계에 있어서 재산의 모든 변동을 종합적, 유기적으로 파악하여 기록하고 계산하기 위한 특수형식.국가재정에서는 일반적인 의미의 계정(account, 계정과목)이외에 세입세출 예산을 구분하기위한 계정이 존재(국가재정법 제21조)

분야명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른 세출예산 분류 체계(분야-부문-프로그램-단위사업-세부사업)의 최상위 단위

부문명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른 세출예산 분류 체계(분야-부문-프로그램-단위사업-세부사업)의 한 단위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른 세출예산 분류 체계(분야-부문-프로그램-단위사업-세부사업)의 한 단위. 국가의 최소 정책단위로서 동일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단위사업으로 구성

단위사업명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른 세출예산 분류 체계(분야-부문-프로그램-단위사업-세부사업)의 한 단위로 프로그램(정책) 달성을 위한 세부사업군(群)으로 구성 (예: 수산물 가격 안정)

세부사업명

프로그램 예산제도에 따른 세출예산 분류 체계(분야-부문-프로그램-단위사업-세부사업)의 최하위 단위로 행정과목에 해당

경비구분

인건비, 기본경비 등 경비 구분

지출구분

일반지출, 보전 지출 등 지출 구분

정부안금액_천원

각 중앙관서의 장이 제출한 예산 요구서에 대한 검토 및 조정 작업(예산안 편성)을 거쳐 예산안 시안이 마련되면 기획재정부는 대통령 중간보고, 당정협의, 예산자문회의 등을 거쳐 정부의 최종 예산안을 마련

국회확정금액_천원

국회에서 확정된 최종 금액

예시 코드

DT::datatable(head(budget2023))